728x90
반응형
●토양 수분장력(pF)
▲pF = logH (H는 물기둥 높이 - cm)
단위환산
1atm = 1033cmH2O = 760mmHg = 1.013bar
※ pF의 단위는 cm인데 bar단위로 알려주고 계산하는 문제가 주로 나온다!
●토양수분 물리학적 분류 (pF로 분류)
▲결합수
-pF가 7이상
-식물이 직접 이용할 수 없는 수분
-가열해도 제거되지 않음
▲흡수수
-pF 4.5이상
-100-110도 상태에서 8-10 시간 가열하면 쉽게 제거 가능
-사질토에서 흡수수양은 무게비로 0.2-0.3%, 부식토 - 70%
▲모세관수
-pF 2.54-4.5
-식물이 이용가능한 유효수분
-흡수수 외부 표면에 표면장력과 중력이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존재하는 물
▲중력수
-pF 2.54 이하
-대수층에 모여 지하수원이 됨
-모세관의 포화이상 수분이 가해져 중력에 의해 이동시에 생김
※ 각각의 특징을 잘알고 있어야하고 특히 모세관수의 특징을 잘 기억해야한다.
728x90
반응형
'토양학개론(기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토양의 사막화 & 토양 산성화,염류화 (0) | 2019.07.23 |
---|---|
토양의 공기 (0) | 2019.07.22 |
균등계수 & 곡률계수 & 공극률 & 공극비 (0) | 2019.07.20 |
우리나라 토양 특징, 토양 입경 구분 (0) | 2019.07.19 |
토양의 침식(수식, 풍식)과 풍화작용 (0) | 2019.07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