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간단하게 그려보면 이렇다 (순서는 O > A > B > C > R)
성토층 : A,B층
전토층 : A,B,C층
●O층(유기물층)
-최상부층(유기물 식별 정도에 따라 O1,O2로 나눈다.)
-예를들면 O1층엔 낙엽같은 것들, O2엔 조금더 분해되어 우리 눈으로 식별 못하는 유기물
●A층(용탈층)
-성토층 제일 윗부분(암흑색)
-광물질이 존재
-여기도 A1,A2,A3로 분류되어 있는데
A1은 우기물+광물질이 섞인 암흑색 층
A2은 광물질이 풍부한 층
A3은 A>B층으로 이동하는 이행층
-간단하게 Fe, Al의 용탈이 일어나는 용탈층이라고 불린다.
●B층(집적층)
-풍화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층
-토양의 구조가 뚜렷하게 구분된다.
-A층에 비해 색깔이 밝음
-상부 토층에서 용탈된 Fe, Al가 집적된다.
●C층(모재층)
-무기물층 (풍화작용을 거의 받지 않는 모재층)
●R층(모암층)
단단한 모암층
+이 부분은 실기에서도 순서대로 쓰라고 한적이 나온적있다. 각각의 특징과 순서는 조금씩 알고 있어야합니다.
728x90
반응형
'토양학개론(기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균등계수 & 곡률계수 & 공극률 & 공극비 (0) | 2019.07.20 |
---|---|
우리나라 토양 특징, 토양 입경 구분 (0) | 2019.07.19 |
토양의 침식(수식, 풍식)과 풍화작용 (0) | 2019.07.18 |
토양생성작용 (0) | 2019.07.17 |
토양 기능과 분류 (0) | 2019.07.15 |
댓글